1. mod_jk Tomcat connector 설명 주소
http://tomcat.apache.org/connectors-doc/reference/workers.html
2. 아리까리 할때는 아래 문서 보기
http://tong.nate.com/hodorii/30502805
AP서버에 치명적인 장해를 발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를 했을 경우,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가 차례차례에 장해 정지하는 것을 확인했다.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가 차례차례에 장해 정지한 원인은, 로드 바란스의 Apache HTTP Server(mod_jk)가, 어느A 노드가 치명적인 에러에 의해서 장해 정지한 후, 다른 노드로 전환해 같은 처리를 실시하게 한(리커버리 처리) 유익이다.
1개의 노드의 장해 정지를 받은 리커버리 처리에 의한, 클러스터 전체의 장해 정지를 회피하려면 Apache HTTP Server(mod_jk)의 워카 속성recovery_options에 적절한 값을 설정한다.워카 속성 recovery_options에 적절한 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1개의 노드가 어플리케이션 처리중의 치명적 장해에 의해 장해 정지했을 경우에서도 다른 노드에 처리를 바꾸지 않고, 클라이언트에 에러 리스폰스를 돌려줄 수 있다.
워카 속성 recovery_options에 3(mod_jk에 의한 리커버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을 설정해 추가시험했는데, 전노드의 연쇄적인 장해 정지는 일어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는 에러 리스폰스(Bad Gateway, HTTP 스테이터스 502)가 돌아갔다.그 후, 다른 노드가 세션 정보를 계승해 처리가 계속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은 어플리케이션 처리중의 장해였기 때문에, recovery_options에 1(Tomcat가 리퀘스트 수신 후에 장해 정지해도 mod_jk에 의한 리커버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을 설정해 추가시험해도, recovery_options가 3 때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3. 그림 설명 보기
NTT Data쪽 문서 (reference는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