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래스틱서치에서 초기 로깅 설정은 INFO 이다.
config/logging.yml 파일에서 확인가능하다.
es.logger.level: INFO
rootLogger: ${es.logger.level}, console, file
로그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2015-09-08 16:33:49,075][INFO ][node ] [node_1] version[1.4.1], pid[49549], build[89d3241/2014-11-26T15:49:29Z]
[2015-09-08 16:33:49,075][INFO ][node ] [node_1] initializing ...
[2015-09-08 16:33:49,091][INFO ][plugins ] [node_1] loaded [....]
[2015-09-08 16:33:50,984][INFO ][node ] [node_1] initialized
[2015-09-08 16:33:50,984][INFO ][node ] [node_1] starting ...
[2015-09-08 16:33:51,139][INFO ][transport ] [node_1] bound_address {inet[/0:0:0:0:0:0:0:0:9300]}, publish_address {inet[/1.1.1.1:9300>
[2015-09-08 16:33:51,161][INFO ][discovery ] [node_1] elasticsearch/js0vKWrgSuK9091fZT5TKg
[2015-09-08 16:33:54,175][INFO ][cluster.service ] [node_1] new_master [node_1][js0vKWrgSuK9091fZT5TKg][Samuelui-MacBook-Pro.local][inet[/1.1.1>
[2015-09-08 16:33:54,206][INFO ][http ] [node_1] bound_address {inet[/0:0:0:0:0:0:0:0:9200]}, publish_address {inet[/1.1.1.1:9200>
[2015-09-08 16:33:54,206][INFO ][node ] [node_1] started
상세한 로그를 보려면 config/logging.yml 파일에서 root logger 의 로거 레벨을 DEBUG로 수정한다.
es.logger.level: DEBUG
rootLogger: ${es.logger.level}, console, file
일래스틱서치를 재시작하면, 엄청 많은 로그가 출력된다. 대충 살펴보니 다음 작업을 알려주는 로그가 출력한다.
(하나 기준으로 잡고 소스 살펴보면 좋을 듯 하다.)
elasticsearch 커맨드 또는 admin 커맨드에 대한 쓰레드 풀 초기화,
네트워킹 초기화,
probe 초기화,
메타데이터 읽고, 소요되는 시간 측정,
색인 메모리 할당,
클러스터(샤드) 초기화,
색인 초기화 등이다.
'Elastic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search] InternalSettingsPreparer.java 분석 (0) | 2015.09.15 |
---|---|
[elasticsearch] mget (0) | 2015.09.09 |
[elasticsearch] 한 샤드 최대 크기 (0) | 2015.09.04 |
elasticsearch 2.0 출시 (2015.8.26) (0) | 2015.08.27 |
[elasticsearch] optimize api (0) | 201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