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a 아키텍처(Non-Uniform Memory Access, NUMA)는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메모리 설계 방법중의 하나로, 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이 메모리와 프로세서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NUMA구조에서 프로세서는 자기의 로컬 메모리에 접근할 때가 원격 메모리에 접근할 때보다 더 빠르다. 원격 메모리는 다른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를 말하고 로컬 메모리는 자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를 말한다.
numa를 잘 활용해야 훨씬 빠르게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다.
https://github.com/numactl/numactl
numa 아키텍처에서 지원하는 간단한 AP로서 numa 아키텍처에서 동작하는 java daemon을 실행할 때 자주 사용될 수 있다. elasticsearch나 cassandra에 사용한다면 성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https://www.slideshare.net/slidunder/numa-and-java-databases
numactl은 공유 메모리 또는 파일에 대한 정책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numactl 커맨드가 있다.
$ numactl --interleave=all /home/www/elasticsearch-5.3/bin/elasticsearch -d
interleave 모드를 사용하면 라운드 로빈으로 메모리를 노드에 할당하게 한다. numa 아키텍처를 활용해 빠르게 접근하게 한다!
https://linux.die.net/man/8/numactl
자바와 NUMA 아키텍처와 관련된 설명은 다음을 참조한다.
https://www.slideshare.net/slidunder/numa-and-java-databases
이 슬라이드는 numctl과 cassandra 간의 조심스러움을 표현하고 있다.
'unix and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netns : 네임스페이스와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network namespace) (0) | 2017.10.23 |
---|---|
Argument list too long 해결하기 (0) | 2017.10.20 |
Intel VT-X option을 BIOS에서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ubuntu (0) | 2017.10.12 |
tcpCurrEstab (0) | 2017.09.19 |
유닉스/리눅스에서 위험한 명령어 : rm, crontab (0) | 2017.09.15 |